728x90 아두이노 35 Wemos D1 mini에 Shift Register 테스트 Wemos D1 mini에 Shift Register 테스트 지난번 포스트에서 언급했던 시프트 레지스터 테스트를 진행했었다. 이 칩의 적용은 다른 여러 전문가들의 블로그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나도 잘 모르는데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개인적인 기록으로 정리해 놓는다. Wemos D1 mini는 일단 nodeMCU와 같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일반적인 핀 입출력 정도의 코드들은 그대로 적용되니까 특별히 변경할 것이 없다. 좋은 점은 불필요한 핀이 없으니까 보이는 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물론 5개 외 나머지는 조건에 맞도록 구성해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까..그래서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해서 확장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이 시프트 레지스터의 핀 맵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 개발 관련/HW 관련 2025. 7. 6. Wemos D1 mini 관련 진행 Wemos D1 mini 관련 진행 지난번까지 별도의 외주 진행 프로젝트가 있어서 그때는 nodeMCU를 사용했었다. 핀 맵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생각보다 많은 제약사항들과 마주치고 또한 하드웨어의 필요한 요구사항이 증가하는 바람에 핀배치를 전면적으로 수정하고 관련된 핀모드의 역할을 또다시 수정하는 등 여러 가지 일들이 있었다. 또한 nodeMCU의 불량도 한 몫 했다. 20여 개를 사용하다 보니 생각보다 불량률이 좀 있고, 작동 중 강한 전자파의 영향으로도 재부팅되거나 하는 일도 있었다. 아무튼 추가로 보드를 다시 만들어야 할 일이 예정되어 있는데, 지난번에 가장 큰 난관은 요구하는 센서들이 늘어나면서 적용해야 할 핀들이 부족해서 난감했었다.아무런 제약없이 쓸 수 있는 핀은 고작 5개다. 다른 핀들은.. 개발 관련/HW 관련 2025. 7. 2. ESP32CAM에 IMAGE Classification 라이브러리로 적용하기 ESP32CAM에 IMAGE Classification 라이브러리로 적용하기 다른 거 검색하다가 테스트 중인 ESP32-CAM에 관련된 영상이 떠 있어서 봤더니 좋은 아이디어라 생각돼서 스크랩했다. 뭐냐면 예전 안드로이드에서 Teachable Machine으로 이미지를 인식하는 앱을 만들어 봤었다. 사물인식이 주 목표였던 사항이지만 이미지기반으로 인식하는 데는 무리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인데,이 영상에서 소개하는 것은 esp32-cam에다 원하는 대상의 사진을 image classification의 라이브러리로 넣어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앱이 아니라 이 이미지 정보를 아두이노의 라이브러리화 해서 esp32-cam에다 넣는 것 같다.얼마나 좋은가... 따로 인식 툴을 거쳐서 만들 필요가 없다. 영.. 스크랩 2025. 5. 11. 제미나이 2.5 아주 간단한 접근(아두이노 활용) 제미나이 2.5 아주 간단한 접근(아두이노 활용) 예전에 제미나이로 이름을 변경하기 전(구글 바드)에 몇몇 테스트를 진행했었다.실제로 쓸만한가 해서 몇번의 시도 끝에 정상적으로 뽑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쉽진 않아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좀 어렵겠다 했다. 전문적이지 않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그냥 참고용으로만 봤었다. 그러다 얼마전에 제미나로 변경되어 2.5까지 업데이트된 것을 보고 이번에는 아두이노의 간단한 코드를 짜보라고 프롬프트에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주었다. 그랬더니 이제는 이전과 확인히 다른 과정으로 진행을 한다. 먼저 AI가 생각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사용작의 언어를 분석하여 AI가 인지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차례대로 보여준다.여기에 필요로 하는 부품, 그리고 그 부품의 사용 특성, 원리, 그리고 이.. 개발 관련/기타 2025. 4. 24. 아두이노용 IR센서 SZH-SSBH-002 불량 확인 아두이노용 IR센서 SZH-SSBH-002 불량 확인 예전에 사물감지용으로 사 두었던 IR센서 새것을 뜯었는데 작동이 안 된다.미개봉 포장을 뜯은 바로 새것인데... 모델은 SZH-SSBH-002이다. 구매한 지 너무 오래돼서 교환도 안된다.;;; 그래서 어디가 고장 났는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그럴리는 없겠지만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납땜불량, 접촉불량일까? 해서 돋보기로 보며 열심히 인두팁으로 칩들을 살살 지져주었다. 그리고 다시 연결... 역시나 안된다. 검출 자체가 안된다.저 중앙의 + 가변저항을 아무리 조절해도 정상적인 값이 안 나온다. 아무래도 칩들에는 문제가 없을 거라 판단하고 광센서들을 확인했다. 적외선 센서에 불이 안 들어온다. 다른 LED로 확인해 보니 전력은 공급되는데 말이다..... 개발 관련/HW 관련 2025. 4. 15. nodeMCU의 WIFI가 끊어졌을때 nodeMCU의 WIFI가 끊어졌을때 nodeMCU를 사용하다 보면 5~10분 후 스스로 WIFI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한다. 보통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것도 쓰기도 할 텐데 작동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WiFi.setSleepMode(WIFI_NONE_SLEEP); 그럴 경우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아래의 링크에 있는 사이트가 그나마 잘 제시해 준 것 같다. Reconnect ESP8266 NodeMCU to WIFI after Lost Connection (Solved) 개발 관련/HW 관련 2025. 3. 8. Arduino ESP-01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Arduino ESP-01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별것 아니지만 헷갈릴까 봐, 그리고 어렵지는 않지만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줄이고자 기록해 놓는다.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방법은 인터넷에 많이 널렸다. ESP-01를 쓰는 이유는 한마디로 가격이 저렴해서이다. 그러나 그다지 좋은 모듈은 아니다. 아주 간단한 테스트 정도로만 해야 하는 게 좋다. 많은 것을 하려고 하면 대부분 잘 안돼서 스트레스만 쌓인다.따라서 이부분에서 추천하자면 Wemos D1이나 mini, 그 이상 생각한다면 NodeMCU 가 좋다고 한다. 아무튼 여기서 원활하게 하는 정도로만 기록해 놓는다. 먼저 펌웨어를 업로드 할 때 다음의 규칙을 적용하면 한 번에 될 수 있다!!! 1. RX, TX 케이블을 잘 꽂았는지 확인 - 아두이노의 0번.. 개발 관련/HW 관련 2025. 2. 14. 아두이노 로봇 제작 - 진행 현황 현재까지 진행된 상태는 지난번 초음파 센서 장착 이후 아두이노 코드와 이를 제어할 유니티의 코드를 수정하고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했다.이에 따라 사물을 인식 및 추적하면 현재의 화면에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거리가 될 때까지 가까이 이동한다.그러면 최종적인 위치에 다가갈때까지 천천히 이동한 뒤 잡을 수 있는 거리가 되면 로봇암이 동작하게 된다.대충 아래의 동영상과 같다. 현재는 제자리에서 바퀴만 회전다록 했다. 이유는 아래에 있다. 위의 제자리 이동의 이유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이것은 프로그램적인 것보다는 제품의 문제가 크다. 일단 DC모터가 계산대로 세밀하게 움직이지 못하는 점, 바퀴가 생각보다 쉽게 미끄러지는 점이 있다.물론 DC모터를 서서히 움직이는 가속코드를 넣어둔 것이 있긴 하지..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8. 12. 아두이노 로봇제작 상황 이 프로젝트를 구상한 지 거의 1년이 다 되어 간다. 시간이 참 빨리 흘러 가고 있다. 단지 이 프로젝트는 먼저 1차적인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인데 너무나도 더디게 진행되는 것 같다. 현생을 하면서 틈나는대로 하고 있지만 진도가 너무 느리다.마음먹고 시간을 좀더 투자한다면 적어도 2~3개월 이내에는 프로토타입을 거의 완성할 것인데 말이다.프로토타입에 너무 정성을 들이는 게 아닌가 한다. 따라서 이번 프로토타입은 이번 8월내에 마무리를 해야겠다. 프로그램적인 부분은 좀 미흡할 것 같으나 본격적인 프로젝트에서 이를 보완하여 진행해야겠다. 다음번엔 아예 3D 프린터를 구입하는 게 여러모로 빠르고 좋을 것 같다. 진행이 더딘 가장 큰 원인은 아마도 여러 가지 오류에 대한 해결이 늦어지는 탓일 것이다.특히나 p..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8. 1. 아두이노 로봇제작-HC-SR04 초음파센서 장착 드디어 초음파 센서를 장착했다.그전에 원하는 기능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매번 거리값을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호출해서 사용할 예정이다. 장착 시 디지털 핀이 남는 게 거의 없었다. 난감했으나 DC모터와 서보모터 충돌 방지차 9, 10번은 비워두었는데 여기에 설치하여 테스트했다.물론 아직 전체 동작을 테스트해 볼 수는 없었다. 초음파 센서는 가이드를 만들어서 장착했다. 완전 고정은 아니며 위로 쉽게 뺄 수 있도록 했다.가이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설계미스가 있어 볼트 고정을 2곳 생각했으나 한 곳밖에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큰 지장은 없다. 미스는 설계도를 토대로 만든 3D와 실물의 몸체 프레임 고정 구멍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났다..;; 아무튼 그래서 아래와 같이 고정하였다. 테스트..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7. 26. 728x9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