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rduino 14

아두이노 로봇제작 DC모터와 서보모터 전압 분리 지난번 서보모터 기준으로 전압을 6V로 설정했더니 DC모터의 출력이 너무 떨어지는 바람에 너무 약한 동작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선 현재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사항은 여분의 DC-DC컨버터를 이용해서 서보모터와 DC모터의 전압을 따로 주는 것이다. 즉, 서보모터는 6V의 전압을 주고 DC모터는 9V의 전압을 주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장착하고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보는 바와 같이 DC모터 쪽이 훨씬 더 힘 있게 시원스럽게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관련 이전 포스팅을 보면 이동시 힘이 없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더불어 서보모터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이제 하드웨어는 특별한 사항이 없는 한 이대로 유지하고 프로그램 쪽을 보완하고 추가해야겠다.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6. 19.
로봇제작 - 로봇암 음성인식 제어 테스트 현재는 로봇암의 음성인식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뭐 빈캔 정도는 들어 올리는데 문제는 없겠다.간혹 튀는 점이 있긴 하는데... 원인은 잘 모르겠다. 시간 되면 고쳐봐야겠다. 아울러 몇 가지 버그를 수정 중이다. 그중 하나가 이동 중에 장애물 근처로 가면 IR센서 감지에 의해 멈추는데,, 음성인식으로는 더 이상 움직이질 않는다. 수동은 잘되는데...아마도 센서에 계속 감지가 되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이는 후진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예외처리가 필요한 부분이다.이런 것에 대한 버그들을 고치고 있다.최종적으로는 사물인식과 합쳐서 스스로 물건을 찾아서 쓰레기 통에 넣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과연 잘 될지.. [영상의 음성은 느끼하다.] 어느 정도 수정을 하고 나면 MG995 서보모터로 교체를 먼저 진행한 뒤..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5. 4.
로봇제작 - 아두이노 PWM 충돌 문제 해결 드디어 충돌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 더 이상의 오작동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배터리가 작아서 같이 쓰면 힘이 약하다. 배터리를 적절하게 분배하는 최적화를 진행해야 할 것 같다. 이로서 서보모터 4개, DC모터 2개를 정상적으로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다. 이전에 포스트에서는 다 된 줄 알았는데, 한 곳이 해결되면 다른 쪽이 안 되는 등 뭔가 한 개씩 문제가 있었다.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보고 결론 내린 것이 핀을 적절하게 배치해야 된다는 것이다. 아두이노의 PWM 핀중에서 다음과 같은 것이 같은 타이머를 사용한다고 한다.(내용은 뭐 잘 모르니까 일단 참고..) 5, 6 : 카운터/타이머 0 사용 9, 10 : 카운터/타이머 1 사용 3, 11 : 카운터/타이머 2 사용 이런 쪽은 잘 안 써서 잘..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4. 14.
로봇제작 - 아두이노 PWM 충돌 문제 기존에 합치는 작업으로 테스트 중이었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바로 서보모터 작동 후 DC모터의 한쪽이 멈추는 것이다. 일단 서보모터 작동 후에 반드시 이 오류가 발생한다. 처음에는 초기화가 잘못된 줄 알고 코드만 열심히 고쳐가며 테스트를 했는데 뭔 짓을 해도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 난감하였다. DC모터 쪽만 PWM을 주고 나머지 서보모터는 일반 디지털포트만 할당했음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작동 이후 다시 서보모터를 동작시키면 서보 모터쪽도 부르르 떨면서 오작동 된다....;;;; 이에 여러 검색을 해도 잘 안나와서 해외 아두이노 포럼에서 정답을 찾았다. Problem using both a dc motor and servo - Projects Discussion and Showcase / Interact..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4. 11.
로봇제작 - 아두이노 테스트 코드 수정 아두이노 로봇암 동작의 테스트 코드를 좀 수정했다. 반복되는 것을 배열로 정리하고 좀 더 수정하기 편하게 보완하였다. 이전 것은 테스트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주면 오류가 있었다. 이것도 함께 보완하였다. 이참에 앱에서는 간단한 것은 명령어 함수로 보내고 물건 집는 것과 제자리 돌아가기 등의 정해진 동작은 아두이노에 미리 만들어서 넣으면 오류 확률이 더욱 줄 것 같다. 그리고 동작에 대한 입력 값이 있을 경우에만 서보모터에 연결되어서 잡음이 들리지 않는다. 모터 또한 전력이 들어가지 않아서 배터리도 절약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3. 31.
로봇제작 Unity UI 업데이트 사물인식에 대한 컨버팅 방법을 계속해서 찾고 있는 중이면서 하드웨어 및 제어 프로그램 등을 손보고 있다. 이제는 음성인식을 통한 내부의 3D 테스트는 할 필요가 없기에 해당부분은 삭제하였다. 아울러 이런거 하면서 기본적으로 하는 남들도 다 해보는 RC카 모드로도 한번 테스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몇가지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수동모드로 버튼으로 바로 움직이도록 수정했다. Arduino의 경우에 즉시 움직이려면 적어도 다음 한 줄의 코드는 추가해 주어야 한다. _bluetooth.setTimeout(40); 기본적인 타임아웃이 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 즉각처리가 되지 않아 지연이 발생된다. 이는 Unity에서 UI버튼 눌렀을때 움직이도록 하고 띄었을 때 정지하도록 이전 포스트에서 eventTrigger에 ..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4. 2. 12.
Arduino 아날로그 핀의 디지털 핀 사용 지난번 아두이노 테스트에서 디지털 핀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생각보다 금방 해결책이 나왔는데, 아두이노에서 아날로그 핀을 디지털 핀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왜 몰랐지?... 사실 이제까지 아두이노를 활용한 여러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면서 지금처럼 많은 핀을 사용한 적이 없었다. 딱 필요한 몇 가지 핀들만 사용해서 진행했다. 아래의 아두이노 공식 사이트에 공개된 아두이노 우노 R3의 핀 맵을 확인 해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오래 사용했지만 이제 알게 되었다는... @_@;; ) 그리고 주력으로 사용할 아두이노 나노의 핀맵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역시 우노와 동일한 핀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아두이노의 아날로그 핀은 A0 ~ A5까지로 정해져 있..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3. 12. 21.
Unity 블루투스 연동 지난번 음성인식 테스트 완료 후 블루투스 작업을 시작했다. 플러그인을 직접 만들기 시도를 했으나 원하는 데로 나오지 않는 관계로.. 그리고 생각보다 시간이 걸려서 적절히 최소한의 기능을 갖는 플러그인을 검색하였다. 괜찮은 분의 Git에서 블루투스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하여서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진행하였다. 아래 것을 참고하시면 되겠다. GitHub - bentalebahmed/BlueUnity: Plugin for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like HC-05 and HC-06 with Unity3d Android GitHub - bentalebahmed/BlueUnity: Plugin for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like HC-05 an.. 개발 관련/프로젝트 2023. 11. 17.
Arduino와 Autoit의 간단한 자동화 테스트 Arduino와 Autoit의 간단한 자동화 테스트 지난번에 Autoit의 이미지서치를 이용한 포스팅, 그리고 Arduino를 이용한 서보모터 동작을 외부 명령어로 입력하여 작동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번에는 이 두 가지를 혼합한 물리적으로 키보드 버튼을 누르는 것을 소개하겠다. 그래봤자 아주 간단한 동작 자동화이다. 이미지 서치를 통해 해당 이미지가 있으면 서보모터를 돌리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코드에서는 Arduino를 통한 서보모터 동작 코드로는 지난번과 동일하며, Autoit으로는 2가지 방식이 있으며 한 가지는 웹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서칭 기능, 다른 한 가지는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서칭 기능을 이용한 것으로 이번에는 후자 쪽을 이용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아시다시피 자동화는 일반적인 프로그램 클.. 개발 관련/HW 관련 2023. 5. 27.
Autoit3으로 Serial 통신하기 확인 Autoit3로 Serial 통신 작동 영상 확인 지난번 Autoit에서 Serial 통신하기 포스팅에서 직접적인 확인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이번에 간단하게 동영상을 추가하였다. 지난번 포스팅 Autoit3로 Serial 통신 사용하기 (tistory.com) Autoit3로 Serial 통신 사용하기 Autoit3로 Serial 통신 이번 포스트는 Autoit로 Serial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Autoit의 Koda From design으로 다음과 같이 폼을 만든다.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이 Koda가 없던 시절에는 tipon.tistory.com Unity와 autoit는 전혀 다른 개발 도구이며 개발 언어도 다르다.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한다... 개발 관련/SW, App 관련 2023. 5. 14.
728x90